유니티 Build Settings 에 보면 빌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근데 32비트에서는 그 플랫폼을 설정할 수 있게 되는데요.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Build Settings를 들어가봅니다.
Build Settins는 상단 메뉴의 'File-Build Settings' 항목에 있습니다.
위 화면에서 보면 왼쪽 아래의 여러 그림이 있는 리스트가 바로 플랫폼을 변경하는 화면입니다.
지금은 Web Player 로 설정이 되어 있는데요.
PC, Mac & Linux Standalone과 iOS 로 변경해보겠습니다.
그럼 둘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No PC, Mac & Linux Standalone module loaded. 와
No iOS module loaded. 밑에
Open Download Page 버튼이 있습니다.
뭐.. 모듈이 없다니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해보죠.
페이지로 이동하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뜹니다..
못 찾는다는군요.. 이런.. 어쩌란 말입니까? 라고 생각하지 말고 밑으로 따라와보세요.
위 화면은 64bit 설치 화면입니다.
64비트용 유니티 에디터를 설치해보죠.
설치 방법은 다들 아시겠죠??
근데 왜 64비트냐고요? 그냥 일단 따라와보세요..
64비트 에디터를 설치하는 화면입니다. 그냥 다음다음~ 넘어가봅니다.
자 이 화면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64bit 에디터와 기타 등등의 파일들은 필요 없습니다.
필요없는 항목은 체크 해제해주시고요. 필요한 항목은 체크해주세요.
다른거는 둘째 치고 저는 Windows Build Support와 Android Build Support를 설치할겁니다.
다음으로 넘어가면 또 중요한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경로가 64비트용으로 되어 있는데요. 32비트 에디터가 설치된 경로로 변경해주세요.
저는 위와 같이 C:\Program Files (x86)\Unity 경로에 32bit 유니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경로로 변경 후 Next를 누르겠습니다.
지금은 Standard Assets을 다운받네요.
뭐 필요한 항목들을 다운 받으면 기존에 설치했던 32bit 유니티 에디터를 실행합니다.
그럼 위와 같이 정상으로 플랫폼이 변경되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