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4월 30일 금요일

Visual Studio 2013 에서 줄번호 보이게 하기

 제목에서 처럼 VS2013에서 줄번호를 보이게 하는겁니다.

그러나 VS 2012나 이전 버전에서도 됩니다.



위와 같은 화면처럼 편집창 좌측에 아무런 표시가 없다면 당연히 줄번호가 없는것이겠죠..

자 이제 줄번호를 생성해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간단하게 오른쪽키를 누르면 줄번호가 나오는데 Visual Studio 는 그게 안되서 불편하네요.



상단 메뉴에서 '도구'-'옵션' 을 눌러주세요.

뿅~



SCRIPT
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옵션창이 뜨면 위의 트리 화면처럼 '텍스트 편집기' - '모든 언어' 를 선택해주세요.

그럼 오른쪽 화면의 '줄 번호' 부분이 보입니다. 그 부분 체크가 해제되어 있을거예요..

체크해주시고 '확인' 을 눌러주세요.



그럼 위와같이 라인번호가 이쁘게 나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편집창에 줄번호 보여주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개발을 하게 되서 보니 줄 번호가 없더군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줄번호를 간단히 만들 수 있습니다.

줄 번호 만드는 방식은 2가지이며, 2번째 방법은 추천합니다.



위와 같이 편집창에 줄번호가 안보입니다.


방법 1.



간단히 편집창 왼쪽에 빈 공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주세요.

컨텍스트 팝업 메뉴에서 Show Line Numbers 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단, 이렇게 보여준 줄 번호는 각 파일당 따로 설정되는 내용이며, 안드로이드 재 시작 시 줄 번호가 사라집니다.



정상적으로 줄 번호가 나오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방법 2.


방법 1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지만 프로그램 재 시작에도 모든 문서 창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설정입니다.

이 방법을 추천합니다.



상단 메뉴 바의 'File' - 'Settings' 를 선택하세요.



Settings 창에서 'Editor'-'General'-'Appearance' 를 선택하세요.

오른쪽 화면에 'Show line numbers' 항목이 보입니다.

해당 항목을 체크해 주세요.

그럼 정상적으로 줄 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니티 개발 시 패키지 추가 방법 및 패키지 추가 시 Couldn't decompress package 오류 해결 방법

 



다른 개발자가 만든 자료를 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유니티에서는 Import 기능을 지원합니다. 다른곳에서 만든 자료를 Export 로 패키지 파일을 만들고 그 패키지 파일을 Import 하는 기능입니다.



프로젝트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면 위와 같은 컨텍스트 메뉴가 뜹니다.

'Import Package-Custom Package' 을 선택합니다.



위와 같이 파일 선택 창에서 원하는 위치의 파일을 선택합니다.

저는 '절대강좌! 유니티 3D' 책에 패키지를 선택했습니다.

앗~! 그런데 아무것도 추가 되지 않는군요.



Ctrl+Shift+'C' 로 Console 창을 확인해봅니다.

'Failed to import package with error : Couldn't decompress package' 메시지가 뜹니다.

이 메시지는 Package 파일 경로에 한글 경로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다른 경로로 이동 후 다시 실행하시면 정상으로 뜹니다.




SCRIPT
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정상일 경우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요. 원하는 특정 파일만 선택하셔도 됩니다.

'Import' 버튼을 누르시면 프로젝트로 Import 됩니다.



정상적으로 Import 되면 위와 같이 폴더가 하나 생성됩니다. 원하는 위치로 이동 후 사용하셔도 됩니다.


유니티는 한글 경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위와 같이 패키지 파일이나 경로에도 한글이 있으면 안되지만, 사용하시는 프로젝트에도 한글이 있으면 안됩니다.

윈도우 계정명을 한글로 입력하실 경우에도 프로젝트 경로를 주의하셔야 합니다.


유니티 5.3.1f1 업그레이드 이후 GooglePlayGames(GPGS) 에서 ambiguous 오류 해결 방법

 오늘 유니티 에디터를 열어보니 똭 하니 5.3.1f1 업그레이드를 하라고 친절히 알려주네요. 저는 항상 최신을 선호하기 때문에 잽싸게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사실 상황을 살펴본 후 안전한 버전임이 증명되면 업그레이드 하는게 좋긴 합니다만, 귀찮으니 항상 빨리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업그레이드 후 기존 코드가 에러가 발생했네요.. 아놔 이런~ 



위 캡쳐의 내용처럼 Logger 클래스가 ambiguous 라네요. 한마디로 Logger 클래스가 참조할 곳이 2군데 즉 'GooglePlayGames.OurUtils.Logger' 와 'UnityEngine.Logger' 로 유추되는데 에디터에서는 어떤걸 가지고 빌드 해야할지 모른다는 말이죠. 클래스의 참조가 모호해서 이런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왜 이런지 모르겠네요. 업그레이드 하면서 기본 코드에 Logger 가 추가됐나요?? 유니티 초보라 원인은 모르나 해결 방법은 알고 있죠.


해결 방법 1.


이 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해당 파일을 실행해보세요.



위와 가이 참조가 모호한 클래스가 보입니다.



Shift + Alt + F10 으로 참조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해결 가능합니다.



다시 유니티 에디터로 가보면 다시 빌드 되면서 이러한 에러들이 또 많이 나옵니다. 파일에서 해당 에러가 많이 발생하면 위와 같이 Ctrl + 'H' 로 특정 이름을 Replace 하면 됩니다. 다른 에러가 발생하면 해당 에러에 맞는 코드로 수정합니다.


SCRIPT
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해결 방법 2.


이 방법을 추천합니다. 해결 방법 1은 이런식으로도 가능하다라고 알려드리고자 미리 말씀드렸고요.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설명을 먼저 드리자면 GPGS 즉 GooglePlayGames 유니티 패키지를 다시 최신으로 받으면 됩니다. 방법을 아시는 분들은 그냥 직접 하시면 됩니다.


GooglePlayGames 유니티 패키지 다운받으러 가기


위 링크를 클릭하여 유니티 패키지를 다운받으러 가겠습니다.



위와 같은 페이지에서 빨간 박스로 표시된 Download ZIP 버튼을 눌러서 압축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세요. 다운이 완료되시면 압축을 풀어주시면 됩니다.



여러 폴더와 파일들이 보이는데요. current-build 폴더를 들어가주세요.


GooglePlayGamesPlugin-0.9.27a.unitypackage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을 그냥 더블클릭하시면 됩니다.

만약 탐색기에서 더블클릭으로 유니티 패키지가 실행이 안되시면 현재 열려있는 유니티 에디터의 프로젝트 창으로 드래그 앤 드랍해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패키지를 압축 풀면서 Import 창이 나옵니다. 저는 테스트하다가 Import 를 해버려서 캡쳐를 못했네요. 임포트 창에서 간단히 임포트 하시고 임포트가 완료되면 유니티 에디터가 알아서 빌드한 후 에러가 없이 깨끗한 Console 화면을 보여줍니다.

프리팹 연결을 끊고 싶을 때

 


프리팹으로 연결해놨던 객체가 굳이 프리팹을 쓸 필요가 없으면 연결을 간단히 끊을 수 있습니다. 또는 프리팹 파일 자체를 지워버릴 경우도 Hierarchy 에 있던 객체가 프리팹을 못 찾아서 빨간색 표시가 날 때도 프리팹과 연결을 끊을 필요가 있죠.



저의 경우 후자입니다. 위와 같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항목이 프리팹 파일을 삭제해서 프리팹을 못 찾는거죠. 이럴 때도 간단히 연결을 끊으면 해결됩니다.

이때 중요한게 기존 프리팹으로 지정된 객체의 최상단 객체를 선택하고 작업해야 합니다.



유니티 에디터 상단에 보시면 GameObject 항목이 메뉴에 보입니다.

선택해보시면 중간에 Break Prefab Instance 라고 되어 있는 항목이 있는데요. 이 항목이 프리팹의 링크를 끊는 기능이죠. 클릭하시면 기존 Hierarchy 에 항목이 이쁘게 검정글자로 변경되어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참 쉽죠. 간단히 프리팹과 연결을 끊었습니다.

유니티 5.3 이후에서 씬(Scene) 전환 방법

 기존 씬 전환


1
Application.LoadLevel("Game");
cs


위와 같이 입력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위의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warning 이 뜹니다.



물론 경고를 보고 그냥 사용해도 되기는 하죠.

위 경고의 원인을 알고자 해당 함수의 정의된 부분으로 이동해봅시다.




정의된 부분을 보면 attribute 로 Obsolete 가 추가되었습니다. 이 attribute 는 앞으로 사라질 예정인 코드에 붙이는 attribute 입니다.


고로 앞으로 사용을 안하는게 좋습니다.


유니티 5.3에서 Scene 전환하기 - SceneManager.LoadScene 


그렇다면 이제 5.3 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하셔야 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using UnityEngine;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UnityEngine.SceneManagement;

public class Main : MonoBehaviour {

    public void LoadGame()
    {
        SceneManager.LoadScene("Game");
    }
}
cs


위와 같은 방법인데요..

UnityEngine.SceneManagement; 네임 스페이스를 추가해 주시고,

SceneManager.LoadScene 함수를 호출해주시면 됩니다.

기존과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Scene에 관련된 함수는 SceneManager 클래스로 관리를 하게 되었네요..

유니티 32 비트 설치 방법

 유니티를 설치할 때 보통 64비트로 설치하게 되죠.

요즘 부쩍 64비트 윈도우를 사용을 많이 하게 되니 자동으로 64비트 유니티로 설치해요.

그런데 32비트 유니티 에디터를 설치해야할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

저의 경우는 외부 업체에서 준 dll 파일이 32비트용 dll 이라서 32비트 에디터를 설치 해야 하더군요.

64비트 유니티 에디터에서는 32비트 dll을 로드하지 못하더군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32비트 유니티 에디터 설치하기 


우선은 유니티 사이트로 접속해야겠죠?

유니티 사이트 바로가기

위 사이트 바로가기를 선택하시면 바로 화면이 전환됩니다.

이 포스팅을 작성하는 시점은 2016년 5월 18일로 그 이후에 유니티 웹 페이지가 변경되게 될 경우 해당 내용이 조금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이동 시 위와 같은 화면으로 나오는데요. 제일 밑으로 이동해주세요.



제일 밑 화면으로 이동하면 위와 같이 '다운로드' 항목에 'Unity' 라는 항목이 보입니다.

빨간색 박스 보이시죠??? 그걸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럼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물론 위의 창도 조금은 스크롤로 내린거에요.

보통 제가 64bit 라고 빨간 글자로 적어놓은 빨간 박스를 눌러서 다운로드 하셨을꺼예요..

근데 32bit는 아래의 32bit 라고 적은 빨간색 박스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작아서 안 보이실 수도 있는데요. 'Unity 이전 버전'이라고 적혀있죠..

사실 '유니티 이전 버전' 항목으로 다운로드 받는게 32bit 전용은 아니예요.



'유니티 이전 버전' 항목으로 들어오면 위와 같은 화면이 있는데요.

가장 위의 5.3.4 버전이 최신버전이예요. 원하는 버전을 다운 받으면 됩니다.



저의 경우는 최신인 5.3.4 버전으로 다운 받고 Window를 사용해서 윈도우 콤보 박스를 선택했어요.

펼쳐진 화면에 'Unity 에디터(32비트)'라고 보이는데요.

그걸 선택하시면 32비트 에디터를 다운 받을 수 있답니다.